분류 전체보기266 골드바 사면 보유세 내야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골드바를 구매해도 보유세(재산세나 종합부동산세) 는 내지 않아요.하지만 양도소득세 는 부과될 수 있어요. 개인이 골드바를 매각할 때, 차익(구매가 대비 매도 차익)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 22% (지방소득세 포함) 를 내야 해요.다만, 1kg 이하의 금은 과세 제외 되며, 1kg 초과분에 대해서만 과세돼요.골드바 세금 요약 1. 보유세 없음그냥 가지고만 있으면 세금 안 냄2. 양도소득세 있음 팔 때 차익이 나면 세금 부과 (1kg 초과분) 3. 부가가치세 없음 순도 99.5% 이상 금 거래는 부가세 면제4. 기타 소득세 해당 가능성 사업적으로 거래하면 종합소득세 적용 가능즉, 골드바를 단순 보유하는 것만으로는 세금이 없지만, 팔 때 차익이 발생하면 세금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2025. 3. 20. 예적금 중도해지하면 신용점수 떨어질까? 예·적금을 가입할 때 중도해지를 하면 신용점수에 영향이 있을까? 궁금한 분들이 많아요. 결론부터 말하면 예·적금을 중도해지한다고 해서 신용점수가 직접적으로 떨어지지는 않아요. 하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 있어요. 하나씩 알아볼게요!1. 예·적금 중도해지는 신용점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신용점수는 대출 상환 기록, 카드 사용 내역, 연체 여부 같은 금융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산정돼요. 예·적금은 기본적으로 대출이 아니기 때문에, 중도해지를 해도 신용점수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어요.즉, 은행에서 돈을 빌린 것이 아니므로 중도해지를 한다고 해서 신용점수가 떨어지지는 않아요.2. 간접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는 경우비록 예·적금 중도해지가 신용점수를 바로 떨어뜨리지는 않지만, 금융 습관이나 거래 .. 2025. 3. 20.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의 차이 소득을 이야기할 때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이라는 개념이 자주 등장해요. 두 개념 모두 중요한 경제 용어지만, 의미가 조금 달라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볼게요!1. 명목소득(Nominal Income)란?명목소득은 말 그대로 화폐 단위로 표시된 소득이에요. 즉, 물가 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그냥 숫자로 나타나는 소득이죠. 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이라면, 이 300만 원이 바로 명목소득이에요.명목소득의 가장 큰 특징은 물가와 관계없이 표면적인 금액을 나타낸다는 점이에요. 시간이 지나도 금액 자체는 변하지 않죠. 그래서 단순히 소득이 올랐다고 해서 생활 수준이 좋아졌다고 단정할 수 없어요.2. 실질소득(Real Income)란?실질소득은 명목소득에서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 2025. 3. 19. 육아휴직 급여, 세금 내야 할까? 육아휴직을 하면서 받는 육아휴직 급여, 과연 세금을 내야 할까요? 많은 분이 헷갈리는 부분이라 오늘 정확하게 짚어드릴게요!1. 육아휴직 급여는 과세 대상일까?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육아휴직 급여는 비과세 소득이에요.즉, 소득세나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아요.이유는 간단해요.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원하는 사회보험 성격의 급여이기 때문이죠.따라서 근로소득이 아니라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돼요.2. 연말정산에 포함될까?연말정산 대상도 아니에요.근로소득이 아니라서 총급여액에도 포함되지 않아요.즉, 연말정산 시 신고할 필요가 없고, 세금도 부과되지 않아요.하지만 육아휴직 전후에 받은 일반 급여(근로소득)는 연말정산 대상이니 따로 신경 써야 해요!3.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은 어떻게 될까?✅ 건강보험료 • 육아휴.. 2025. 3. 19. 이전 1 2 3 4 5 6 7 8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