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육아휴직을 하면서 받는 육아휴직 급여, 과연 세금을 내야 할까요? 많은 분이 헷갈리는 부분이라 오늘 정확하게 짚어드릴게요!

1. 육아휴직 급여는 과세 대상일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육아휴직 급여는 비과세 소득이에요.
즉, 소득세나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아요.
이유는 간단해요.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원하는 사회보험 성격의 급여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근로소득이 아니라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돼요.
2. 연말정산에 포함될까?
연말정산 대상도 아니에요.
근로소득이 아니라서 총급여액에도 포함되지 않아요.
즉, 연말정산 시 신고할 필요가 없고, 세금도 부과되지 않아요.
하지만 육아휴직 전후에 받은 일반 급여(근로소득)는 연말정산 대상이니 따로 신경 써야 해요!
3.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은 어떻게 될까?
✅ 건강보험료
• 육아휴직 기간 동안 건강보험료 납부가 면제돼요.
• 단, 직장가입자 자격은 유지돼요.
✅ 국민연금
• 국민연금은 직접 납부해야 해요.
• 하지만 최대 12개월까지 국민연금 보험료를 국가에서 지원해줘요.
• 지원을 받으려면 신청이 필요하니, 국민연금공단에 꼭 문의하세요!
4. 육아휴직 중에도 신고해야 할 것
육아휴직 급여 자체는 신고할 필요 없지만, 다른 소득이 있다면 세금 신고를 해야 해요.
예를 들어,
• 육아휴직 중 근로소득을 추가로 받았다면 연말정산 필수!
• 임대소득, 프리랜서 소득 등 기타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이런 소득이 없다면, 육아휴직 급여는 신경 쓰지 않아도 돼요.
✔ 육아휴직 급여는 비과세 소득
✔ 연말정산 신고 대상이 아님
✔ 건강보험료는 면제, 국민연금은 신청하면 지원 가능
✔ 다른 소득이 있으면 신고 필요!
728x90
'경제비지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적금 중도해지하면 신용점수 떨어질까? (2) | 2025.03.20 |
---|---|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의 차이 (2) | 2025.03.19 |
몸캠 피싱 대처법 5가지!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하세요 (3) | 2025.03.10 |
농지 양도소득세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9) | 2024.11.27 |
소상공인 지원에 대한 모든 것! 꼭 알아두세요 (4) | 2024.11.22 |